728x90

전체 글 503

155일차(모험 64일차) - 회원 도메인 개발

강의 - 회원 도메인 개발 ➡️ 모든 설계에 역할과 구현을 분리한다! * 이 전에는 생성자 작성안했는데? ➡️ 100일차(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 궁금증 해결 면접 스터디 -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의 차이 -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의 차이 이 전에 공부하면서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 차이에 대해서 정리했었는데 면접 스터디에서도 이 주제를 다루게 되었다.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의 차이는 인스턴스를 정리하다가 이와 관련된 면접 질문에 클래스와 비교하는 글을 읽게 되었는데 마침 그 주제로 이번주 스터디를 하게 되어서 오늘 다시 한번 보는 시간을 가지고 정리를 하게 되었다.

TIL 2022.02.16

154일차(모험 63일차)

-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강의 듣기 스프링 이론을 정리하면서 강의도 듣고 있는데 아직 기본 세팅 부분이라서 특별히 적을 부분은 없는 것 같다. 다만 이전에 흙을 먹던 기억이 나서 세팅을 할 때 Gradle 대신 IntelliJ로 바꿨다는 거..? 2021.12.24 - [TIL] - 102일차(모험11일차) 안녕하세요 흙먹는 delight입니다 - 용어 정리 복습하기 이 전에 용어들을 정리 했지만 머릿속에 들어오기 위해서 계속 읽으면서 복습 중이다.

TIL 2022.02.15

22주차 - 다형성

이번주 주말에는 면접 스터디를 하게 되면서 면접 질문을 정리한 다양한 repository를 보게 되었고 그것들을 참고하면서 공부를 하게 되었고 깃헙에 정리했다..!! 먼저, 강의를 보며 다형성, Solid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형성과 SOLID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추가로 공부하였고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면접 질문을 찾아보게 되었다. 처음에 강의를 들을 때는 관계에 대해서 헷갈렸다. 다형성이 객체 지향에서 가장 중요하고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인 SOLID가 있다. 는 파악했으나 다형성이랑 인터페이스는 무슨 관계인건지 몰라서 머리가 아팠다. 🖥️(강의)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 즉, 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대! 👧🏻(나) : 아직 감이 잘 안잡히는데..😵‍💫 🖥..

WIL 2022.02.14

151일차(모험 60일차)

오늘은 면접 스터디 피드백을 받고 수정을 했다. 이미 있는 면접 정리 깃허브를 통해서 참고를 하였고 깃허브에 없는 내용들은 구글링을 해서 참고하려고 했다. 그런데 내가 이전에 작성했던 주제 중에 하나가 면접 답변보다는 블로그 답변같다고 하셔서 이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 면접용 깃허브들을 많이 확인해봤지만 관련 글들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최근에는 그 주제 보다는 다른 방향으로 질문을 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어서 다음 주 주제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TIL 2022.02.11

150일차(모험 59일차) - Test 코드 작성 3

어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궁금한 점들을 질문드렸었다. 149일차(모험 58일차) - Test 코드 작성 2 아래는 가장 마지막에 했던 질문이고 ❓ :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다. test 코드를 RegistryRepositoryTest로 진행했는데 Service로 test 코드를 진행해서 값을 dto에 담고 dto와 registry를 비교하는 것도 있다. 잘 못 진행한걸까? 🅰️ : 사실 정해진건 없다. 서비스를 테스트 하는거면 서비스를 호출해야되는게 맞다. 이어서 추가 질문을 드렸다. ❓ : 그러면 작성하는 사람 자유인가? 🅰️ : 딱 정해진 건 없다. 일반적으로 service를 테스트 한다. 그리고 테스트 하려고 하는 상황에 따라 db를 조회해서 service 결과와 비교해볼 수도 있고 그냥 임..

TIL 2022.02.10

149일차(모험 58일차) - Test 코드 작성 2

Test 코드 오늘은 면접 스터디 주제에 해당하는 자료를 마크다운 형식으로 정리해서 github에 올리는 것을 진행했지만 이 부분은 gihub을 참고해도 되니 했다라는 것만 적고 오늘은 test 코드 얘기에 집중하려고 한다. 147일차(모험 56일차) - Test 코드 작성 에 이어서 적어본다. print()를 작성하는 것은 test 코드로는 의미가 없어서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 튜터님이 newRegistry 변수로 저장해서 Registry와 비교하는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라는 질문에 registryRepository.save(registry) 코드로 변경했다. @Test void 통합test() throws Exception { //given Registry registry = new Registry(..

TIL 2022.02.09

148일차(모험 57일차) - 프로젝트 의견 조율

팀 프로젝트 내가 작성한 페이지에서 팀원이 수정을 한다고 내 코드를 일부 수정하는 줄 알았는데 내 코드를 참고해서 새로 작성한 거라 class 명 정하는데 꽤 시간이 걸렸다. 내가 댓글 작성하는 클래스를 comment로 적었고 본문을 main 제목을 tilte로 해뒀는데 팀원은 본문을 comment라고 적어서 댓글로 헷갈릴까봐 본문을 content로 적는게 어떻겠냐 제안을 했는데 그냥 comment로 해도 상관없지 않을까 라고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조율하다가 꽤 걸렸다. 정리(Github) 원래는 각자 모든 주제를 공부한 다음 합치기로 했는데 일이 생겨서 이번주만 파트를 나눠서 정하기로 했다. 내가 오늘 맡은 부분은 java 언어 기초여서 그 부분에 대해서 정리했다. 그리고 스프링 기본 강의를 들으면서..

TIL 2022.02.09

147일차(모험 56일차) - Test 코드 작성

Test 코드 작성 처음에 작성할 때는 구글링을 해서 참고하여 작성했다. read를 확인하기 위해 @Transactional을 주석 처리하고 실행했더니 read도 잘 되는 것 같은데 왜 @~로 나오는건지 궁금해서 튜터님께 질문을 드렸었다.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RegistryRepositoryTest { @Autowired RegistryRepository registryRepository; @Test void registry등록() throws Exception { Registry registry = new Registry(); registry.setTitle("첫번째 글 작성"); registry.setMain("내가 첫번째임"); Registry newR..

TIL 2022.02.07

21주차 - 페이징

Today 오늘은 페이징을 구현하려고 했는데 백엔드는 어느정도 한 것 같은데 ajax에서 막힌 것 같아서 그 부분을 계속 수정했다. 강의를 보면 이해가 될까 싶어서 찾아봤는데 백엔드 설명은 있어도 프론트 설명은 없어서 이해하려고 보다가 오래걸렸다. (뭐가 문제일까..? 🥲) 내일은 이 전에 프로젝트 할 때 작성한 다른 팀들의 코드를 보면서 다시 작성해야할 것 같다. (계속 하다보면 언젠간 되겠지?) Week 월요일부터 계속 프로젝트 코드에만 집중했다. 다음주부터는 면접 스터디도 진행되는데 공부도 겸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토요일 새벽에 자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한 번 짜봐야 할 것 같아서 게시판 crud 테스트 코드를 짜봤는데 맞게 한 건지 잘 몰라서 (내가 생각한 답이 아닌 다른 답이 나왔는데 그 응답에..

WIL 2022.02.06

144일차(모험 53일차)

어제 공감 공간 글을 작성 후 페이지에 띄울 때 역순으로 띄우고 싶었는데 잘 되지 않았다. idx.reverse도 해보고 idx.sort후에 temp에 넣을 때 reverse를 넣어보고 별 방법을 해봤는데 안먹었다. success: function (response) { for (let i = 0; i < response.length; i++) { let idx = [response[i]['idx']].sort(); let title = response[i]['title']; let main = response[i]['main']; let temp_html = ` ${title} ` ////////////////////////////////////////////////////////////////////..

TIL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