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준비를 하면서 웹 서버에 아는게 좋을 것 같아 공부하다가
"WAS와 웹서버의 차이 – 톰캣과 아파치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라는 글을 보고
WAS와 웹 서버의 차이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궁금한게 생겼다.
아파치가 웹 서버(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이고 톰캣이 WAS라고 말하는데
(웹 서버는 정적 데이터를 처리하고 WAS는 동적 파일을 처리)
1, 2차 때 웹 서버는 flask이다.
근데 웹 서버는 정적이라고 했는데 동적 파일은 어떻게 실행이 된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궁금증을 튜터님께 여쭤봐서 오늘 해결했다.
🅰️ :
flask는 web, was를 같이 지원해주는 형태라서 자바 처럼 tomcat같은 was 서버가 필요없다.
현업에서는 web, was서버를 따로 분리해서 web에는 정적파일,
was에는 동적파일(java, python 등등)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flask가 제공하는 웹서버는 웹서버만의 기능이 아니라
was의 기능도 같이 가지고 있는것이다.
출처 :
WAS와 웹서버의 차이 – 톰캣과 아파치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란?
이력서 첨삭
어제 이력서 첨삭을 받고 바로 이력서를 고친 후에 오늘 이력서 첨삭을 다른 튜터님께 받았다.
그랬는데 어제 받은 튜터님과 오늘 첨삭 받은 튜터님의 말씀이 서로 다르셨다.
어제 첨삭을 받은 튜터님을 a튜터님, 오늘 첨삭을 받은 튜터님을 b라고 칭하겠다.
그래서 내가 a튜터님께 첨삭 받기 전 이력서를 b 튜터님께 보여드렸더니 이렇게 쓰는게 맞다고 하셨다.
😅😅😅😅😅😅😅😅😅😅😅😅😅😅😅
어제 괜히 피드백 바로 반영해서 오늘 또 수정을 해나가고 있는데 이번이 마지막이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a튜터님께서 github 말씀을 해주셨는데 그 방향으로 하는게 맞는지 b튜터님께 질문을 드렸더니
그 부분은 굳이 신경써서 안해도 된다고 하셨다. (a튜터님께서는 신경써야 한다고 하셔서 작성했는데....)
개인적인 내 생각으로는 b튜터님께만 첨삭을 받는게 나았던 것 같다.
내가 개인적으로 이력서 첨삭을 받았던 튜터님께서도 b 튜터님과 비슷한 방향으로 말씀해주셔서
b 튜터님이 말씀해주신 방향으로 쓰려고 하고 있다.
이번이 가장 오랫동안 수정하는 이력서가 되지않을까 싶다. (😭😭)
- 모험가 haedal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일차(모험 39일차) (0) | 2022.01.20 |
---|---|
129일차(모험 38일차) - 쿠팡 알림 봇 출력형식 변경2 (0) | 2022.01.20 |
127일차(모험 36일차) (0) | 2022.01.17 |
124일차(모험 33일차) (0) | 2022.01.15 |
123일차(모험32일차)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