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11시 튜터님 피드백
오늘 튜터님께 프로젝트 계획에 관해 이렇게 진행하는 게 맞을지 피드백을 요청드렸다.
트러블 슈팅은 어떤 식으로 작성해야할지
스프린트를 작성할 때 구현 순서를 적어도 되는게 맞는지
추후에 추가할 기능들도 미리 ERD와 API에 적어야 할지
우리 팀의 규칙을 개발문화로 WIKI에 작성했는데 이렇게 해도 되는건지
등등 에 관해서 질문을 드렸다.
대부분 본인 스타일대로 하면 된다는 말씀이셨다.
그리고 너무 처음부터 꼼꼼히 하지말고 큰 흐름만 잡고 나중에 세세하게 작성하라고 하셨다.
오후 2시 Github
feature/week04 브랜치를 삭제하고 feature/week05 브랜치를 생성했는데
main에서 있던 파일과 feature/week05에 있는 파일이 달랐다.
그 전에는 알아서 넣어지던데 이번에는 기존 브랜치를 삭제하고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했더니 그런 것 같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인 pull reqeust를 활용하여 main에서 feature/week05를 merge했다.
(feature/week05 ← main) 이렇게 하는게 맞나..??
틈틈이 Spirng 강의
회의가 끝나고 식사시간에 틈틈이 spring 강의도 들었다.
이번 강의는 Controller와 html 매핑이라서 어렵지 않았다.
오후 3시 ~ erd, api 작성
오늘의 일정은 erd, api를 작성하고, 이번주엔 로그인 페이지를 같이 구현하고
다음주 수요일 1차 스프린트 기간까지프론트 작업을 끝내기로 해서
오늘은 erd와 api 설계에 초점을 맞췄다.
erd를 이 전까지 한 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시간이 꽤 소요 되었다.
최대한 우리가 알아볼 수 있게 erd 프로그램에 있는 여러 칼럼들을 지우고 간단하게 작성을 했다.
어차피 이게 최종 ERD는 아니다 보니 지금 주요 기능으로 구현할 것만 작성했다.
그리고 우리의 팀 로고도 만들었다.
haedal + psycho = dal-cho
API를 작성하게 되면서 서로 맡을 역할을 정하게 되었는데
나는 3차 프로젝트 때 S3를 이용해서 사진 업로드를 해봤기 때문에
이번에는 동영상 업로드 기능 보다 실시간 채팅을 해보는 걸 해보고 싶었다.
마침 팀원분은 동영상을 하고 싶어서 역할 분배는 쉽게 나눠졌다.
그런데 API 설계를 맞게 하고 있는건지 잘 몰라서 내일 튜터님께 여쭤봐야할 것 같다.
구글링이나 다른 팀들 API가 제각각이라서 어느게 맞는건지 잘 모르겠다.
오늘도 팀 프로젝트 진행을 하다가 새벽 2시를 넘겼다.
곧 새벽 3시..
아직은 초기 개발 단계니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걸로 믿고
그 이후엔 1시에 잠 잘 준비를 해보고 싶다.
- 모험가 haedal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일차(모험 12일차) 흙 안먹는 delight입니다. (0) | 2021.12.25 |
---|---|
102일차(모험11일차) 안녕하세요 흙먹는 delight입니다 (3) | 2021.12.24 |
100일차(모험 9일차) - 프로젝트 Github 작성 (1) | 2021.12.22 |
99일차(모험 8일차_프로젝트 계획 짜기) (0) | 2021.12.20 |
96일차(모험 5일차) - 프로젝트 틀 작성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