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00일차(모험 9일차) - 프로젝트 Github 작성

haedal-uni 2021. 12. 22. 02:51
728x90

오후 11시 Spring 정리

100일차(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100일차(서비스)

100일차(서비스 테스트)

 

강의를 들으면 단축키가 이것저것 있는데 단축키만 몇 개 알면

근데 강의에서 사용되는 화면이 윈도우가 아니라서 구글링으로 찾고 있다.😭

윈도우 단축키도 보여시긴 하는데 맥 버전의 윈도우 단축키라서 화살표 키?가

윈도우에선 무엇을 말하는지 몰라가지고 어차피 두 경우 모두 구글링 해봐야 한다 

 

지금까지 강의를 듣고 느낀 내 생각은

이 전에 해온 과정이 왜 그렇게 나오는 건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어노테이션을 잘 안쓰시고 풀어쓰시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이 전까지 H2를 사용하여 나에겐 interface는 JPA 적어주고 끝이었는데

public interface Registry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Registry, Long> {
}

여기서는 DB 저장소를 정하지 않고 작성하고 있어서 색다른게 많은 것 같다.

 

 

test 코드 작성하는 것도 이번에 처음 배워서 아직 익숙하지 않아 흐름만 대충 알고 넘기려고 하고 있다.

어차피 한번에 알기 어려우니깐 너무 깊게 들어가지 말아야지 해놓고 

어느 순간 보면 코드 뜯어보고 있는 나를 보게 된다.   ( 멈춰..! )

 

강의 시간은 짧은데 내가 정리하고 이해한 바를 세세하게 적으려고 하다보니

강의 듣는 시간보다 정리하는 시간이 더 긴 것 같다.

그래서 최대한 그렇구나 하고 넘기려고 노력하고 있다..

 


오후 5시 @RequiredArgsConstructor, @Autowired

이 전에는 Controller, Service에 @RequiredArgsConstructor를 그냥 쓰는걸로만 생각했다.

 

 

물론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멤버 변수 생성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위 코드가 @RequiredArgsConstructor으로 대체 할 수 있다. 라고 이 전에 오류가 떴을 때 확인을 했지만

확실히 머리에 각인되지 않았다.    74일차(퀴즈 내주기)                            

 

 

그런데 강의를 들으면서 @Autowired를 쓰는 것을 배우다가 나는 안썼던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들어

확인을 해봤더니 @RequiredArgsConstructor를 썼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Autowired 와 @RequiredArgsConstructor에 대해 각인이 되었다.

 

 

이 전 강의는 그냥 a를 써라라는 느낌으로 가르쳐 줘서 a방법만 있는 줄 알았는데 

이번 강의는 처음부터 풀어서 가는 느낌이라서 비교를 해보면서 수업을 들으니 머리에 더 남게 된다.

 

 

정리 > 100일차(컴포넌트 스캔과 Autowired)

 


오후 8시 이후  팀 프로젝트 Github 작성

우리의 웹 사이트의 테마를 정했고 사이트 이름을 정했다.

웹사이트 이름은 ADME(애드미)이다. 

웹 사이트 이름을 정할 때 팀원과 함께 머리를 맞대도 만족할 만한 것이 없어 남친의 도움을 받았다.😆

ADME(애드미)인 이유가 궁금하다면 Github에서 보면 된다.

 

웹사이트 이름을 정하고 팀 계정을 만들어 새로운 repository를 작성했다.

팀 계정은 haedal과 psycho를 합쳐 dal-cho 계정을 만들었고

repository 이름은 웹사이트 명으로 작성했다.

 

Wiki page를 아래와 같이 작성을 했고 내일 튜터님께 피드백을 받아

보완해야할 점들을 초기에 보완하기로 했다.

 

 

오늘 정리한 것들을 요약 해보면 아래와 같다.

 

- Gihub 팀 계정 생성

- Wiki 작성

   - 1차 스프린트 작성

   - 주요기능

   - 와이어 프레임

   - 개발 문화

 

 

회의를 진행하다보니 또 3시가 넘어가고 있다. 

우리 팀의 문제는 늦게 자고 아침에 정신을 못차리는게 문제인 것 같다. 

 

- 모험가 haedal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