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 이전 글 보충 )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AppConfig)
■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 값을 전달해서 연결된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AppConfig - FixDiscountPolicy에서 RateDiscountPolicy로 변경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코드를 손대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의존관계 주입의 장점)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 한다.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에는 주로 DI 컨테이너라 한다.
(JUnit도 IoC 컨테이너인 것처럼 IoC는 여러군데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 IoC : 제어권이 넘어가는 것)
또는 어샘블러(조립하는 느낌),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add] 스프링으로 전환하기 [#6] #12
자바 코드만으로 DI를 적용 → 스프링으로 전환
MemberApp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
스프링은 모든게 ApplicationContext로 시작을 한다.
이것이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보면 된다.
applicationContext
이것이 모든 것을 관리해준다.(객체들을)
@Bean이라고 한 것들을 모두 관리해준다.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nnotation 기반으로 Config를 하고 있다. (AppConfig)
AppConfig에 가지고 있는 환경 설정 정보를 가지고 스프링이
applicationContext 안에 있는(@Bean 붙은 것)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 생성한 것들을 관리해준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찾아오기
⬇️ 이 전에는 직접 찾았었다.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ppConfig.memberService(); //→ AppConfig에서 직접 찾았다.
getBean(이름, 반환 타입)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 AppConfig에서 이름은 memberService이고 타입은 MemberService인 것을 꺼내는 것이다.
⬇️ 이름은 기본적으로 메소드 이름으로 등록된다.
실행
실행해보면 이 전과는 다른 로그가 뜬다.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이라는 게 적혀있는데 이것은 스프링에 등록이 된다는 말이다.
appConfig를 기준으로 위에는 스프링이 내부적으로 필요해서 등록하는 것이고
appConfig 포함한 아래는 @Bean으로 등록해놨던 것이다.
key는 메소드명 value는 객체 인스턴스 (return 값)
key - memberService // value - MemberServiceImpl
OrderApp도 마찬가지로 적용시켜준다.
//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Config.memberService();
// OrderService orderService = appConfig.orderService();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OrderService ord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orderService", OrderService.class);
ex) orderService를 꺼내면 OrderServiceImpl이 나온다.
정리(스프링으로 전환하기)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를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 이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 memberService , orderService )
이전에는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기존에는 직접 자바코드로 모든 것을 했다면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 단축키
ctrl + alt + v : 변수 추출하기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8일차(모험 87일차) -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0) | 2022.03.11 |
---|---|
177일차(모험 86일차) - error: invalid path (0) | 2022.03.10 |
175일차(모험 84일차) - 웹 소켓 구현 공부 (0) | 2022.03.08 |
174일차(모험 83일차) (0) | 2022.03.07 |
171일차(모험 80일차) - 새로운 구조와 할인 정책 적용 (0) | 202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