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13
기존 울타리에서 벗어나 새로운 울타리를 찾아 떠나는 일상이 시작 되었다.
꾸준히 이곳에 기록해 나가면서 초심을 잃지 않을 것이다.
2021.12.13 새벽 2시경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팀원이 있어 모험을 같이 떠나면서 앞으로 어떻게 진행할지 목록들을 작성했다.
새벽에는 내 아이디어만 얘기해서 임시로 채택이 되었다.
그리고 우리의 팀명은 "달코"라고 지었다. (임시)
달코는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1. 나의 별명인 해달과 팀원의 별명인 싸이코를 합친 의미
2. 달달한 코딩
3. 달리갈 때 없을 때 코옥 눌러줘 (현재 나온 내 아이디어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가정하에)
할일 목록은 3차 프로젝트 피드백을 주신 튜터님과 캠프의 처음과 끝을 책임지시는 튜터님의 의견을 모아
해야할 목록들을 만들게 되었다.
[ 할 일 목록 ]
- Java, Spring 공부 (필요시간 : ~ 5시간)
- Algorithm (필요시간 : 1시간 30분, 주 4회)
- T.S.L (Today Spring Lean) (필요시간 : ~ 1시간 30분)
- T.I.L (필요시간 : ~ 1시간)
- 용어정리 ( 필요시간 : 30분)
우리의 할일 목록은 위와 같다. 최대한 spring 공부를 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
2021.12.13 오전 9시경
우리의 모험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튜터님이 캠프가 끝날 때까지 우리의 목표를 구체화시키라고 하셨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모험은 내년까지 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체화 시켜야 할 것 같다.
2021.12.13 오후 3시경 - 알고리즘(백준)
우리의 모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알고리즘을 시작해봤는데 이전에 해오고 한동안 안해서
어떻게 하는지는 알겠는데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몰랐다.
( 이렇게 한 것 같은데... 어떻게 썼더라? 알고리즘은 꾸준히 해야겠다. )
아직 java 공부는 미흡해서 이번주는 python으로만 진행할 예정인데 그동안 spring 프로젝트만 했다고
나도 모르게 빨간 줄에 alt+enter를 하게 되고, for문에 :(콜론) 대신 괄호를 넣고 난리났었다.
팀원은 .lenth를 작성했다고 했다.
각자 같은 문제를 풀고 서로 문제 풀이 피드백을 한 뒤 github에 commit 하였다.
이걸 어떻게 java로 작성할지 걱정이다. python으로도 어렵다.
알고리즘 풀 때 같은 문제를 풀게 된 이유처럼 어느 방법이 더 효율적일지 분석과
각 일정에 대한 세부사항은 노션에 따로 정리했다.
앞으로 알고리즘은 git에 정리하고 Sping 공부는 TIL이 아닌 T.S.L에 정리했다.
Today Spring Learned라고 지어봤는데 채택되었다. (...??)
오늘은 일요일에 작성한 일정에 좀 더 세부적으로 작성하느라 많이 나아가지는 못했지만
틀을 잡아뒀으니 이대로만 진행하면 빨리 프로젝트도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
- 모험가 haedal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일차_튜터님 피드백(모험 3일차) (0) | 2021.12.15 |
---|---|
93일차(모험 2일차) (0) | 2021.12.14 |
90일차(내가 팀 프로젝트를 그만 하려는 이유2) (0) | 2021.12.11 |
89일차(내가 팀 프로젝트를 그만 하려는 이유) (0) | 2021.12.11 |
88일차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