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48일차

haedal-uni 2021. 10. 30. 02:12
728x90

강의 내용 정리

 

CDN(Content Delivery Network)

1) 한국에 서버가 있다. 미국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을 하려고 한다.

 

 

request를 보내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 가까운 지역에 서버를 더 둔다.(미국에도 서버를 만든다.)

😟 이렇게 하면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해야한다.

2) 서버가 해주는 역할이 별로 없을 때 data가 html, css, js, image인 경우 

서버는 데이터를 보내주는 역할밖에 없다.

 

정적으로 데이터를 보내면 정적 웹 호스팅을 할 때 cloudfront를 사용한다.

* cloudfront가 cdn이랑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cdn이라고 하는 서비스를 쓰게 되면 cloudfront에서는 edge라는 표현을 쓴다.

데이터를 보낼 줄 수 있는(정적파일 보내는) 역할을 하는 포인터들이 있다.

 

 

edge가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 사용자에게 요청이 올 때 응답을 해줄 수 있다.

 

이게 사용가능한 이유는 캐싱을 사용하고 있어서 이다.

컴퓨팅에서 캐시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특징이 있는 데이터 하위 집합을 저장하는 고속 데이터 스토리지 계층

 

* 캐싱이란? https://aws.amazon.com/ko/caching/

 


궁금했던 점 정리

 

🤔❓ nginx 실행 후 인스턴스 접속해서 index 파일을 수정한 것과

local에 있는 index.html을 S3에서 올린 파일이 둘 다 같은 파일인데 수정이 된 거는 왜 인스턴스뿐일까 궁금했다.

 

👉🏻 서버에 올린 파일(cloud)에서 고친 것이므로 local에 있는 파일은 수정되지 않은 파일로 올라가는 것이다.

 

 

 

 

🤔❓ s3와 s3 정적 웹호스팅이 있는데 s3만 사용하면 될 것 같은데 s3 정적 웹 호스팅은 왜 사용하는 걸까?

 

S3가 정적 파일을 호스팅 하려고 만들어진 것이다.

문서나 사진만 올리는 경우에는 S3만 사용해도 상관없다.

html, css, js와 같은 정적 파일(앞단)을 올릴 때 정적 웹 호스팅을 사용한다.

 

정적과 동적 차이점은 2개로 정리했다.

1. db 저장 유무

2. 앞단과 뒷단

 

동적은 python을 예를 들 수 있다. python을 실행하려면 python.exe가 있어야 한다.

 

수정이 되지 않는 파일은 정적(똑같은 내용 보여줌)이고

사용자가 무엇을 선택하냐에 따라 내용이 변하면 동적이다.

 

DB 저장이 된다는 것은 페이지가 계속 바뀌는 것이고 그러면 동적이 된다.

DB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말은 페이지가 항상 같은 페이지

 

Client 입장에서 파일이 똑같으면 정적

         요청했는데 응답이 다르게 오면 동적이다.

 


오늘은 졸업시험 2개를 보느라 타임어택을 보지 못했다.

오늘 실강도 정리하지 못했는데 주말에 꼭 해야하는 부분만 우선적으로 하고 

졸업시험 공부를 마저 해야겠다...😣

 

 

 

728x90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일차  (0) 2021.11.02
50일차(1일차 용어정리)  (0) 2021.11.01
46일차(서버리스 프론트엔드 총 정리라 말하고 1일차 총정리 하기,,)  (0) 2021.10.28
45일차  (0) 2021.10.28
44일차  (0) 2021.10.27